기존에 다른 PC에서 사용하던 하드디스크가 새로 생겨서 백업용 하드디스크로 사용하기로 하였습니다. 사용하는 PC의 윈도우를 설치한지도 오래되고 해서 새로 포맷하여 윈도우7을 설치하고 시스템 이미지 만들기로 백업을 하려고 하니 백업용 하드디스크가 인식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CMOS나 윈도우 탐색기에서는 인식이 되지만 시스템 이미지 만들기에서만 인식이 안되어 살펴보니 백업용 하드디스크를 시스템 하드디스크로 인식하여 발생하는 문제였습니다. 따라서, 새로 포맷을 하면 될 줄 알았는데 포맷 자체도 실행이 안되어서 윈도우7 설치과정에서 하드디스크 파티션을 삭제하는 방법으로 해결하였습니다. 아래는 앞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시스템 이미지 만들기" 도중 저장위치를 인식하지 못하는 화면입니다. 윈도우7 디스크..
인터넷 익스플로러 등 웹서칭 프로그램의 경우 보안 등의 문제로 관리자 권한을 부여하여 실행하는 경우가 가끔 있습니다. 이럴 경우 항상 관리자 권한을 선택하여 부여하고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콘 클릭만 해도 관리자 권한부여까지 실행할 수 있는 간단한 팁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먼저, 관리자 권한을 항상 부여할 프로그램 아이콘을 선택한 후 마우스 우클릭하여 "속성(R)"을 클릭합니다.여기서는 구글 크롬을 예로 들겠습니다. "고급(D)..."를 클릭합니다.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R)"을 체크한 후 확인을 눌러줍니다. 이상으로 관리자 권한 항시 부여가 되었습니다.해당 바로가기를 클릭할 때마다 아래와 같은 메시지를 띄우게 됩니다."예(Y)"를 선택하면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되고, "아니요(N)"를 선택하면 실행 취..
윈도우7 바탕화면의 작업표시줄에 빠른 실행 아이콘이 있으면 바탕화면 정리도 되고 프로그램도 쉽게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빠른 실행 만들기는 작업표시줄 옵션을 조정해 주는 것으로 간단히 마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먼저, 바탕화면의 작업표시줄에 마우스 포인터를 위치시킨 후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합니다. 메뉴 박스가 생기면 "도구 모음(T)" - "새 도구 모음(N)..."을 차례로 클릭합니다. 아래와 같이 "폴더:"에 "shell:quick launch"를 입력한 수 "폴더 선택"을 클릭합니다. 아래와 같이 작업표시줄에 빠른 실행 아이콘이 생깁니다. 빨간 색 화살표 부분에 마우스 포인터를 가리킨 후 좌클릭한 채로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작업표시줄의 왼쪽으로 빠른 실행 도구를 이..
윈도우를 포맷하거나 기존의 시스템 이미지로 복원을 한 경우 시스템 업데이트 등을 하고 윈도우 7 백업도구를 사용하여 이미지 백업을 다시 하고자 하면 가끔 "백업이 실패했습니다"라는 메시지와 함께 오류코드 0x80780119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오류는 주로 윈도우 설치 드라이브의 MSR(예약) 파티션의 용량부족으로 발생합니다. 이 MSR(예약) 파티션의 용량을 늘려주면 되나 이러한 방법은 따로 없어 MSR(예약) 파티션을 삭제하고 윈도우를 재설치하는 방법으로 이를 해결할 수 있는데요. 이 방법을 공유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단, 이 방법은 윈도우 10 이나 윈도우 11의 복구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윈도우 7 백업도구(이미지 백업)을 사용하시는 분들만 적용하시기 바랍니다. MSR(예약) 파티션..
중고로 구매하여 사용하던 그래픽카드가 고장이 나서 윈도우 화면이 제대로 나오지 않아 해결방법을 찾아 보았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그래픽카드의 GPU 연결 납땜이 오래 사용하다보면 떨어져서 그래픽카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냉납현상이 윈인이라고 하더군요. 이 냉납현상을 수리하기 위해 리히팅이라는 방법을 사용하여 직접 DIY에 도전해 보겠습니다. 단, 아래 방법으로 인한 리히팅 후 그래픽카드가 고장나더라도 괜찮으신 분들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앞서 말씀드린 대로 냉납현상 수리방법으로 리히팅과 리볼링이 있는데, 리히팅은 GPU에 열을 가하여 기존의 납땜부분을 녹였다 식혀서 기존의 납과 GPU 접촉부를 제대로 붙이는 방법이고, 리볼링은 GPU를 분해하여 기존의 납을 제거하고 볼납을 올려 다시 납땜하는 방법입니다...
잘 사용하던 프린터가 검정색만 출력이 되지 않는 증상이 발생하였습니다. 이런 증상은 보통 프린터 헤드가 막혔거나 폐잉크 호스가 막혀서 발생하는데 먼저 헤드를 청소해 보기로 하였습니다. 제가 사용하는 복합기 HP Photosmart 5510 입니다. 상판 분해에 사용할 도구는 아래 사진과 같은 육각 드라이버입니다. 일반적인 십자나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육각 드라이버를 준비하셔야 합니다. 복합기 덮개를 열면 아래와 같은 모습을 보실 수 있는데 상판을 고정하는 나사는 겉으로 드러나 있는 나사가 6개(빨간색 원) 이고 숨겨진 나사가 3개(노란색 원) 입니다. 먼저 복합기 덮개를 고정하고 있는 걸이를 풀어줘야 하는데, 일자 드라이버 등을 이용해서 걸쇠를 풀어줍니다. 복합기 덮개 걸이가 풀어진 모습입니다. 다음은 ..
잘 사용하던 컴퓨터의 메인보드가 고장나서 중고 메인보드를 구매하여 재조립하였더니 "DQS training failed on previous boot, reverted to slower DRAM speed. Press F1 to Resume."이란 메시지가 뜨면서 부팅 실패를 하였습니다. 보통은 메모리 접촉불량으로 인해 발생한다고 하는데 저 같은 경우는 CMOS 셋팅을 제대로 설정하여 해결하였습니다. 아래와 같이 메시지가 뜨면서 F1을 누르니 부팅이 되는 듯 하다가 블루스크린이 뜨면서 부팅을 실패하였습니다. 시스템 이미지를 저장한 것이 있어 다시 복원하여도 똑같은 메시지가 뜨면서 부팅이 실패하더군요. 포맷을 하여도 해결할 수 없는 하드웨어적인 문제점인 것 같았습니다. 인터넷에서 알아보니 보통의 경우는 메모..
제 자동차의 워셔액 분사각도가 너무 낮아서 전면유리가 제대로 닦이지 않아 고민이 있었는데 자동차 정비소 기술자님이 팁을 주셔서 해결했습니다. 준비물은 옷핀이나 일반 침핀 하나만 있으면 되더군요. 아래 사진을 보면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운전석에서 본 제 자동차의 워셔액 분사각도입니다. 너무 아래쪽으로 워셔액이 분사되어 전면유리가 제대로 닦이지 않는 사진입니다. 워셔액 각도 조정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먼저 아래 사진과 같이 옷핀이나 침핀 등으로 워셔액 분사구에 끼운 다음 아주 조금씩 움직이고 워셔액을 분사해 보면서 원하는 각도 대로 맞추면 됩니다. 옷핀으로 조금씩 여러번 조정하면서 맞춘 각도입니다. 제가 원하는 위치에 분사가 되도록 마무리 하였습니다. 아주 간단한 방법이지만 워셔액 분사각도가 마음에 안들..
알톤 로드마스터 픽시자전거(801BF)를 사용 중인데 타이어가 얇아서 그런지 가끔 펑크가 나더군요. 자전거 수리점에 맡겨도 되지만 펑크수리가 어렵지 않으므로 직접 하셔도 괜찮을 것 같네요. 펑크난 뒷바퀴입니다. 픽시자전거인데요. 아래 사진의 빨간색 원부분의 너트 3개만 풀어주면 바퀴 분해가 가능합니다. 먼저 자전거 체인의 장력을 조절하는 부분의 너트를 풀어줍니다. 분해된 너트와 부속품입니다. 다음으로 바퀴를 고정하고 있는 너트 2개(양쪽)를 풀어줍니다. 너트가 제거된 뒷바퀴입니다. 체인을 살짝 풀어서 바퀴를 분해하시면 됩니다. 뒷바퀴를 고정하고 있던 너트 등 부속품입니다. 분해된 바퀴에서 튜브캡을 풀고 림과 튜브를 고정해주는 너트도 풀어 줍니다. 분해된 튜브캡과 너트입니다. 자전거 림과 타이어, 그리고 ..
서브 컴퓨터의 메인보드가 고장나서 중고로 구입한 ECS 메인보드입니다. AMD CPU용으로 AM3소켓을 사용하며 모델명은 MCP61M-M3입니다. 사용설명서 : 제조사 홈페이지 링크 : http://www.ecs.com.tw/ECSWebSite/Product/Product_Overview.aspx?DetailID=1006&CategoryID=1&DetailName=Feature&MenuID=19&LanID=0 MCP61M-M3 CPUSupports AMD® AM3 socket for AMD® Phenom™ II processorsHigh Performance AMD HyperTransport 3.0 CPU InterfacePlease refer to CPU support list for detailsCH..